2025년 FOMC 일정과 한국발표시간-한국 금통위일정


연초부터 상승하는 코스피지수
✅ 코스피 지수
2,518.27 (1월 7일 기준)
코스피는 1월 6일 기준 전날 대비 1.91% 상승하면서 지난 3일 일일 수익률이 1,79% 상승한데 이어 2 거래일 연속으로 오르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현지시각으로 7일부터 열리고 있는 CES 2025 (인공지능) 기대감이 부각되면서 SK하이닉스와 같은 AI 관련 반도체 업종의 주가가 크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동안 부진했던 코스피와 국장 주가들이 살아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게 되는데요.
이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주가 상승과 깊은 관련이 있는 금리의 방향도 확인해야 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자국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 세계 투자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이벤트인 미국 FOMC의 일정과 한국 금통위 일정을 알아보면서 다른 주요 국가의 금리 회의 일정도 같이 확인해 볼게요.
1. 2025년 FOMC 일정
FOMC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라고 불리면서 한국의 한국은행과 유사한 연방준비제도 (FED)가 금리 정책을 결정하는 회의를 의미합니다.
이 회의에서는 자국 내의 금리 방향을 결정하게 되고 이로 인해 미국뿐만 아니라 글로벌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제롬 파월의 임기
현재 의장은 제롬 파월로 제롬 파월의 임기는 2026년 5월 15일까지입니다.
하지만 최근 트럼프 당선인과의 갈등으로 그가 임기까지 의장 직책을 수행할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는데요.
미국 연방준비제도 (FED)는 정부에 영향을 받지 않는 독립적인 기관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는 없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2025년 미국 FOMC 일정 한국시간
📌 2025년 FOMC 일정은 위처럼 차례 예정인데요.
1차 1월 29일(수) ~ 30일(목)
2차 3월 19일(수) ~ 20일(목)
3차 5월 7일(수) ~ 일(목)
4차 6월 18일(수)~19일(목)
5차 7월 30일(수) ~ 31일(목)
6차 9월 17일(수) ~ 18일(목)
7차 10월 29일(수) ~ 30일(목)
8차 12월 10일(수) ~ 11일(목)
경제전망 요약을 진행하는 3월, 6월, 9월, 12월 회의에서는 점 도표가 함께 공개됩니다.
📌 점도표 공개
점 도표는 연준 위원들의 금리 전망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FOMC에 참석하는 전문가들의 금리 전망을 시각적으로 나타내주는 표를 의미합니다.
현재 시점에서 가장 빠른 FOMC 회의는 1월 29일(수) 시작 예정입니다. 한국 시간으로는 30일(목) 새벽 3시~ 4시에 금리 발표를 할 예정입니다.
2. 2025년 금통위 일정

한국은행에서 회의하는 금융 통화 의원회
위처럼 한국에서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결정하고 발표하는 금융통화위원회 일정도 존재하는데요.
한국은행 금통위는 대한민국의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회의입니다.

한국의 금통위 일정
2025년 금통위 정기 회의는 총 24회 개최할 예정입니다. 이 중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통화정책 방향 결정 회의는 8회로 (1월, 2월, 4월, 5월, 7월, 8월, 10월, 11월)에 열립니다.
📌 2025년 대한민국 금통위 일정
1차 1월 16일(목)
2차 2월 25일(화)
3차 4월 17일(목)
4차 5월 29일(목)
5차 7월 10일(목)
6차 8월 28일(목)
7차 10월 23일(목)
8차 11월 27일(목)
현재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3.0%이고
미국의 기준금리는 4.5%로
두나라 간의 금리 차이는 1.5%입니다.
최근 국내에서는 고환율과 비상계엄 사태로 불안정한 경제 상황과 국외로는 미국 트럼프 정부의 출현으로 불확실한 미래가 겹쳐지면서 한국과 미국의 금리 발표 일정에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 주요 국가별 금리 발표 일정

주요 국가별 기준금리 발표 일정
위의 표는 한국과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과 일본의 금리 발표 일정을 정리해 두었는데요.
미국만큼이나 우리나라의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들이기 때문에 주요 국가의 기준금리 발표 일정을 확인해 두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2025년의 코스피의 기분 좋은 출발로 앞으로의 국장도 기대가 되는 부분인데요.
물론 국내외적으로 불안정한 상황과 불확실한 미래로 한 치 앞도 확신할 수 없지만 2024년 안 좋은 일이 많았던 만큼 올해에는 좋은 일만 가득했으면 좋겠습니다.
'국내 및 해외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엄마아빠택시 신청방법과 사업내용 총정리 (1) | 2025.03.22 |
---|---|
성과급 세금계산방법과 퇴직연금으로 절세하는방법 (0) | 2025.03.20 |
주민세 종업원분 기준과 신고방법 개정후 과세표준 (0) | 2025.03.20 |
초단시간 근로자 퇴직금 지급기준과 4대보험 가입대상자 (1) | 2025.03.20 |
단시간 근로자 4대보험 기준과 주휴수당 계산 (1)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