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및 해외 정책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상실신고서 확인방법

cafeconomics 2025. 3. 15. 04:13

이번에는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상실신고서 확인방법에 대해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저는 최근 이직을 준비하면서 여러 기업의 자기소개서를 쓰고 있는데요.

아직까지는 연락 오는 곳이 없어서 자기소개서 파일만 썼다 지웠다를 반복하면서 준비하고 있습니다.

취업할 때도 어렵지만 이직 시장 역시 어렵더라고요.

그러면서 2025년 구직급여 신청과 그와 관련된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상실 신고서 확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2025년에 퇴사하면서 구직급여를 받으실 계획이 있는 이웃분들은 활용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구직급여(실업급여) 신청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실업급여는 사실 구직급여와 같은 의미로 쓰이고 있는데요.

실업급여는 크게 4가지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구직급여

취업촉진 수당

연장 급여

상병 급여

이렇게 4가지로 구분되어 있는데요.

✅ 구직급여

구직급여는 조건에 해당할 경우 일정 기간을 주기로 급여를 지급받는 것을 말하는데요.

일급을 기준으로 계산하는데, 고용보험 가입 기간에 따라 120일 ~ 최대 270일까지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퇴직한 다은 날로부터 12개월이 지나면 받을 수 없으니 조건에 충족하시는 분들은 지체하지 말고 빨리 실업 신고 후 지급절차를 밟는 것이 좋습니다.

✅ 취업촉진 수당

구직자가 빠르게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금을 주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조기 재취업수당, 직업 능력 개발수당, 광역 구직활동비, 이주비가 존재합니다.

그중 조기 재취업수당은 구직급여를 받는 도중에 취업한 구직자를 위한 제도입니다.

✅ 연장 급여

연장 급여는 구직급여를 연장하여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 상병 급여

상병 급여는 수급자격자가 질병, 부상인 경우에 구직급여를 지급할 수 없거나 수급자격자가 출산으로 인해 구직활동을 할 수 없게 되는 경우에 지급하는 급여를 의미합니다.

 

2025년 구직급여 조건

 

구직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일정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데요.

1. 상용직의 경우, 실직일 이전 18개월 사이에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180일 이상일 것. 이때 고용보험 가입 기간은 유급인 날수를 의미하며, 주휴수당을 받는 날도 포함됩니다.

- 초단시간 근로자 : 이직일 이전 24개월 내 피보험 단위 기간 180일 이상

- 노무제공자(프리랜서) : 이직일 이전 24개월 내 피보험 단위 기간 12개월 이상

- 자영업자 : 폐업일 이전 24개월 내 피보험자로 가입 기간 1년 이상

2. 근로의 의사와 능력이 있지만, 취업하지 못한 상태에 있어야 합니다.

3. 재취업을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해야 합니다.

4. 실직 사유가 비 자발적 사유여야 합니다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상실 신고서 확인 방법

구직급여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퇴직한 회사로부터 퇴직 사실에 관한 확인이 필요한데요.

근로자가 퇴사를 하면 회사는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상실 신고서'를 근로복지 공단에 제출해야 합니다.

그래서 원활한 진행을 위해 퇴직할 때 회사에 미리 요청하고 이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한데요.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안내드리려고 합니다.

'고용산재보험 토털 서비스' 검색 화면

1. 우선 '고용산재보험 토털 서비스'를 검색해 접속합니다.

 

'고용 산재보험 토털 서비스' 로그인 화면

2. 그리고 원활한 진행을 위해 '개인'을 통해 로그인을 해줍니다.

본인이 어떤 근로자인지도 체크 후 로그인을 해야 합니다. 보통은 일반 근로자 유형이 젤 많을 것 같은데요.

로그인 후 정보 조회 클릭

'상 보장 피보험 자격신고현황' 화면 클릭

3. 그리고 '[정보 조회]'-'[민원 조회]'-'[사업장 피보험자격신고현황]'을 클릭해 줍니다.

'근로자 자격상실 신고서' 클릭

4. 민원 종류 중에 원하는 민원서를 조회합니다. 저희는 '[근로자 자격상실 신고서]'를 클릭해야겠죠.

'승인' 화면

저 같은 경우 2022년에 이전 회사에서 퇴사를 했기 때문에 조회해 보니 이전 회사의 기록이 남아있더라고요.

저처럼 승인이 나오면 회사에서 근로복지 공단에 서류를 제출하고 승인이 난 상태가 되는 겁니다.

그리면 실업급여를 신청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구직급여를 신청하는 데 필요한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상실 신고서'확인 방법에 대해서 안내드렸습니다.

2025년에 비자발적 사유로 인해 필요하신 분들은 확인 후 유용하세 사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이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