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트럼프행정부 2기 관세정책의 이유에 대해서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최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으로 인해 주식시장과 코인시장이 급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트럼프의 관세정책은 지난 1기 때와는 약간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트럼프 행정부 1기 관세정책
트럼프 행정부 1기때 역시 다른 국가에 관세를 부과하는 관세정책을 시행했지만 그때는 중국에 한정된 관세정책을 시행하면서 중국과의 경제 불공정을 해소하고자 하는 무역전쟁을 시행했습니다.
이처럼 중국에 한해 관세를 부과하며 다른 동맹국에게 관세부과를 시행하지는 않았는데요.
https://donggu1995.tistory.com/32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 1기 임기 시절 상승한 관련 주식과 한국 영향은 어땠을까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 1기 임기 시절 상승한 관련 주식과 한국 영향은 어땠을까 이번 47대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의 당선이기정사실화되면서 4년 만에 트럼프가 47대 미국 대통령으로 복
cafeconomics.co.kr
트럼프 1기 때와는 달라진 현재의 관세정책
지난 1기 때와는 현재 다르게 트럼프의 관세정책은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어, 캐나다, 멕시코를 포함한 동맹국뿐만 아니라 모든 교역을 대상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멕시코와 캐나다산 수입품에 일률적으로 25%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에도 10% 관세 부과 후 점차적으로 20% 인식하는 계획을 밝히는 등의 모습을 보이고 있죠.
이러한 이뉴는 지난 시기때와 달라진 경제 안보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2기 때는 마약, 이민 문제에 집중
지난 1기 때와 다르게 트럼프는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를 통해 펜타닐 밀수 차단과 불법 이민 억제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거기에 더해 두나라와의 불균형 무역상황을 해소하려는 의도도 있겠죠.
1기 때는 중국과의 경제적 문제에만 집중해 관세정책을 시행했다면, 현재로서는 경제뿐만 아니라 국가안보와도 관련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세정책을 시행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결과적으로 1기 때와 2기 때 모두 미국을 위한 정책임은 틀림없죠.
하지만 가장 많이 떨어진 지수는 미국지수
하지만 이렇게 다른 나라에 관세부과를 하는데도 캐나다와 멕시코보다도 미국의 지수가 더 크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의 이웃 나라로 관세율 25%라는 대규모 공격을 받고 있는 캐나다 주가는 최근 한 달간 3.8%, 멕시코 주가는 0.6% 떨어지기는 했습니다.
그런데 이들보다 가장 큰 폭의 주가 하락을 나타내고 있는 곳은 미국 주식시장인데요.
트럼프 관세 전쟁이 미국 경제에 인플레이션 등 부메랑으로 돌아와 미국이 가장 큰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유럽과 중국 등 아시아의 주가지수는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죠.
중국의 주가상승원인으로는 트럼프가 관세전쟁에 집중하면서 중국과의 기술졍쟁에 큰 관심이 없어 보인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어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은 그사이에 인공지능과 반도체, 신에너지 사업을 발전시키고 있고, 중국 정부에서도 적극적인 지원을 하면서 중구지수를 끌어올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국내 및 해외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근로장려금 산정표,정기신청기간,지급한도 정리 (1) | 2025.03.19 |
---|---|
CNN 공포탐욕지수 확인법 5단계 7개구분지표 (1) | 2025.03.19 |
미국채 투자방법 직접투자VS간접투자 (1) | 2025.03.15 |
대한항공 마일리지 적립 신용카드 TOP2 (3) | 2025.03.15 |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상실신고서 확인방법 (1)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