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이자 지급해 주는 파킹 통장 금리 비교 이자 실수령액까지 총 정리

투자처를 찾지 못한 목돈이 파킹 통장에 몰린다는 뉴스
최근 금리 인사 시기에 돌입하면서 금리가 더 내려가기 전 고금리 파킹 통장을 찾는 고객들이 늘어난다는 뉴스를 보았는데요.
최근 미국의 대선이 가까워지면서 불투명한 미래와
마땅한 투자처를 찾을 때까지 돈을 잠시 맡길 수 있는 파킹 통장이 인기가 있어진 이유로 꼽히고 있어요.
특히 자유롭게 입출금 할 수 있고 예치한 동안
매일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점이
더욱 매력적인 상품입니다.
그렇다면 오늘은 파킹 통장에 대해 알아보고
파킹 통장의 금리를 비교하면서
실수령액까지 비교해 보겠습니다.
1. 파킹 통장이란 무엇일까?

파킹 통장 일러스트
파킹 통장이란 잠깐 차량 주차(Parking)를
하는 것처럼 금융기관에 비상금으로 쓸 돈이나 목돈을 장기간 예치하지 않고 단기간 보관하는 용도로
쓰이는 통장을 의미해요.
파킹 통장의 경우 매일매일 최종 잔액을 기준으로
금리가 적용되고 매일 이자를 지급해 줍니다.
파킹 통장을 사용할 수 있는 케이스
목돈을 가지고 있는 경우 일반 수시 입출금 통장에
예치하기보다는 높은 금리를 적용받는 파킹 통장에
예치하는 게 더욱 유리하지요.
특히 공모주와 같은 주식이나 부동산 투자금 활용할 자금의 경우, 파킹 통장에 예치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1,2년 돈이 묶이게 되는 게 아니라 내가 원할 때
인출할 수 있는 점이 매우 운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또한 파킹 통장은 자금의 단기 보관에 유리한
상품이기 때문에 전세자금이나 주택자금 등
안전자산을 잠시 맡기기 좋은 금융상품으로
파킹 통장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5천만 원을 파킹 통장에 1달만 보관해도
약 10만 원에 가까운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파킹 통장의 장점 3가지
그렇다면 파킹 통장의 장점으로는 무엇이 있을까요?
파킹 통장의 장점은 3가지가 있는데요.
1.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하다.
2. 단순히 입출금이 가능한
보통예금 통장보다 금리가 높다.
3. 금리 인상기에 재가입하지 않아도
인상된 금리가 적용
( 단 금리 인하기에도 역시 인하된 금리 적용)
2. 파킹 통장 금리 비교
케이뱅크 플러스 박스

케이뱅크 플러스 박스
케이뱅크의 플러스 박스는
한도 금액이 없고 5천만 원 이상일 때는
금리가 달라지는 특징이 있는데요.
가입대상
당행 입출금 통장을 보유한
실명의 개인 및 개인사업자
가입한도 금액
제한 없음
적용금리
5천만 원 이하 : 2.30%
5천만 원 초과분 : 3.00%
카카오뱅크 세이프 박스

카카오뱅크 세이프 박스
접근성이 편리한 카카오뱅크에서도
세이프 박스라는 파킹 통장이 존재하는데요.
가입대상
카카오뱅크 입출금 통장 또는 개인 사업자 통장을
통한 연결만 가능,
연결된 계좌당 1개씩만 개서 가능
가입한도 금액
기본 한도 : 1천만 원
증액 한도 : 1억 원
적용금리
2.00%
토스 뱅크 통장

토스의 토스 뱅크 통장
다른 인터넷 뱅킹 사인 토스에서도
파킹 통장인 토스 뱅크 통장을 만들었는데요.
가입대상
카카오뱅크 입출금 통장 또는 개인 사업자 통장을
통한 연결만 가능,
연결된 계좌당 1개씩만 개서 가능
가입한도 금액
기본 한도 : 1천만 원
증액 한도 : 1억 원
적용금리
2.00%
3. 파킹 통장 별 실 수령액
그렇다면 일정 금액을 파킹 통장에
넣어놓으면 매일 지급받는 이자금액은 얼마일까요?
1,000만 원을 각 파킹 통장에
넣을 때 매일 이자 지급액

1,000만 원 예치 시 일별 파킹 통장 이자 지급
1억 원을 각 파킹 통장에
넣을 때 매일 이자 지급액

1억 원 예치 시 일별 파킹 통장 이자 지급
(이중 케이뱅크의 금리는
5천만 원까지는 2.3%를 적용받고
5천만 원 초과분은 3%의 금리를 적용받기 때문에
5천만 원에 대해서 3%의 금리를 적용시켰습니다. )
목돈을 잠깐 잠시 보관하거나
비상금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할 통장을 찾는다면
파킹 통장을 통해 매일 이자도 받으면 좋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