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및 해외 정책

해고예고수당 계산방법 자격요건 총정리

cafeconomics 2025. 4. 7. 18:02

최근 기업들의 구조조정으로 갑작스럽게 해고되고 일자리를 잃는 경우가 많은데요.

제가 다니고 있는 회사 역시 최근 구조조정을 겪으면서 동료들이 떠나는 모습을 보면서 가슴이 아프곤 했습니다.

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이렇게 어쩔 수 없는 상황이 많고 이럴 때마다 속상한 것 같아요. 이렇게 회사에 거 갑작스럽게 나가라고 하는 경우 해고예고수당을 받아야 한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이는 회사뿐만 아니라 아르바이트로 계약을 했을 경우도 마찬가지인데요. 해고예고수당이란 무엇이며 어떤 계산법이 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해고 예고수당이란?

해고 예고수당이란 사업자가 근로자를 해고할 경우 근로자한테 미리 예고하지 않거나 예고기간을 지키지 않았을 경우 이에 지급해야 마땅한 수당을 의미합니다.

✅ 해고 예고

근로기준법 제26조에 의해 사업자는 해고 30일 전까지 근로자에게 해고 사실을 미리 알려야 합니다.

30일 전에 미리 해고를 예고하지 않았다면 해고 예고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해고 예고수당 계산 방법

해고 예고수당은 근로자의 30일분 이상의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지급하고 있습니다.

만약 근로자가 급여 외에 수당이나 상여금도 지급받았다면 이 금액 역시 포함해서 계산해야 합니다.

📌 해고 예고수당 = 시간급 통상임금 X 1일 소정근로시간 수 X 30일

✅ 통상임금

통상임금이란 근로자에게 전체 근로 또는 정해진 근로에 대해 정기적, 일률적으로 지급하기로 한 임금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통상임금은 기본급과 각종 수당을 포함해 근로자에게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금액으로 계약된 임금 형태에 따라서 월급, 주급, 일급, 시간급이 될 수 있습니다.

 

해고 예고수당 예시

말이 살짝 어려우니 이해하기 쉽게 해고 예고수당의 예시를 들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 근로자 A

 
  • 근무 일정 = 1일 8시간, 주 5일 근무
  • 월 근로시간 = 209시간
  • 급여 내용 = 월급 290만 원 + 식비 10만 원 = 300만 원

해고 예고수당 = (300만 원 ÷ 209시간) X 8시간 X 30일 = 3,444,976원

✅ 근로자 B

  • 근무 일정 = 1일 5시간, 주 3일 근무
  • 1일 소정근로시간 = 15시간 ÷ 40시간 X 8시간 = 3시간
  • 시급 = 1만 원

해고 예고수당 = 1만 원 X 3시간 X 30일= 90만 원

해고예고수당을 미지급 처벌

일반적으로는 해고예고수당으로 1개월치의 월급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근로계약의 형태에 따라서 달라지기도 하는데요.

이렇게 근로기준법에 따라 해고예고수당을 지급하지 않는 사업자라면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점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해고예고수당 예외기준

하지만 무조건적으로 해고 대상자에게 해고예고수당을 지급하지는 않습니다.

여기에서도 예외는 존재하는데요.

아래의 경우에는 해고예고수당 지급의무에서 제외됩니다.

 

  • 근로자의 계속 근로 기간이 3개월 미만인 경우
  • 근로자가 고의로 사업에 막대한 지장을 주거나 재산상의 손해를 끼치게 한 경우
  • 천재지변이나 부득이한 이유로 사업을 지속하지 못하는 경우

✅ 5인 미만 사업장은?

5인 미만 사업장 역시 해고예고수당 지급의무를 적용받습니다.

만약 5인 미만의 사업자가 근로자를 해고한다면 30일 이전에 해고예고를 한 후 진행하셔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해고 예고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 해고 예고수당 지급일은?

해고 예고수당은 근로기준법에 따라서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지급해야 합니다.

✅ 권고사직 대상자는?

권고사직이란 사업자가 근로자에게 사직을 권유하고, 이에 따라 근로자가 동의하여 원만한 합의로 근로관계를 종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에 따라 권고사직은 해고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해고 예고수당 지급의무 역시 없습니다.

 

 

 

지금까지 해고예고수당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물론 다니는 직장에서 이런 일이 없는 게 가장 베스트지만 혹시나 이렇게 회사에서 해고를 하는 일이 발생했을 경우 이렇게 미리 알고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그럼 다음에도 유익한 내용으로 포스팅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