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장병 봉급표,장별 내일적금,예비군훈련비 지급
2025 장병 봉급표,장별 내일적금,예비군훈련비 지급

최근 군인들의 월급이 많이 올랐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어서 찾아보니까 이제는 100만 원을
넘게 월급으로 받는다고 하더라고요.
물론 제가 군대에 있을 때도 월급이 많이 올랐다고
얘기했었던 게 기억이 나는데, 저도 이제 보니까
많이 받는다고 그때의 형들과 선배들이랑
똑같이 느껴지게 되는 것 같아요!

2025년 분야별 재원 예산
국방예산은 61조 6천억으로 측정되었고
그중 병 봉급 예산은 5조 1천억 원으로 작년보다
8천억 원 남짓 늘어난 예산액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군 병사들의 급여가 가파르게 인상되면서 2025년부터는 초급 간부인 소위, 하사의
기본급여보다 병장의 급여가 더 많아지는
상황이 나왔다고 해요.
이러한 상황 탓에 초급간부들의 병력 자원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으로 전문성을 갖추고 있는
뛰어난 인력 확보가 어려워졌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고충을 반영해서 이제부터 초급간부들도
병사들만 가입할 수 있었던 장병 내일 적금에
가입할 수 있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렇다면 2025년부터 군인 월급은 얼마이며
장병 내일 적금은 무슨 내용인지 포스팅해 볼게요!
2025년 병사 월급은?
2025년 국군 장병들의 급여는 얼마일까요?
일단 병사들의 월급부터 확인해 볼게요.

2023년~2025년 병사 월급
✅ 2023년 월급
이병 : 600,000원
일병 : 680,000원
상병 : 800,000원
병장 : 1,000,000원
✅ 2024년 월급
이병 : 640,000원
일병 : 800,000원
상병 : 1,000,000원
병장 : 1,250,000원
✅ 2025년 월급
이병 : 750,000원
일병 : 900,000원
상병 : 1,200,000원
병장 : 1,500,000원
2023년부터 2025년까지
병사들의 월급을 정리해 봤는데요.
확실히 급여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요.
2025년 장교, 부사관 월급은?
그렇다면 장교, 하사들의 월급은 얼마나 올랐을까요?

부사관 월급
먼저 부사관들의 봉급 표인데요.
비교를 위해서 5호봉까지만의 봉급 표를 가져왔는데
확실히 병사들의 인상분에 비해서는 작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장교 월급
그렇다면 장교들의 봉급 표는 어떨까요?
장교들의 봉급 표도 비교를 위해서
5호봉까지만의 봉급 표를 가지고 왔어요.
최근 3년간 급여 인상분도
확연하게 차이를 보이는데요.
✅ 병장 급여 인상분
2023년 100만 원 →
2025년 150만 원
인상분이 50%
✅ 1호봉 하사 급여 인상분
2023년 177만 원 →
2025년 193만 원
인상분이 9.2%
2. 장병 내일 적금이란?
장병 내일 준비적금이란 의무복무 중인 병사들에게
우대이율과 정부 지원금을 통해 목돈 마련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정부 지원 적금 상품입니다.
✅ 가입대상
국방부 : 현역, 상근 예비역
경찰청 : 의무경찰
해양 경찰청 : 의무 해양경찰
소방청 : 의무 소방원
병무청 : 사회 복무요원
✅ 지원자격
잔여 복무 기간이 6개월 1일 이상 남은 신규 가입자
단) 직전 3년간 1회 이상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기초생활수급자의 경우 적금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 혜택

정부 지원금
1️⃣ 정부 매칭 지원금
매칭 정부 지원금 원금의 100% 추가 지원으로
만기 전역 시 본인이 은행에 납입한 금액만큼을 더
돌려받게 되는 것입니다.
2️⃣ 비과세 혜택 : 15.4% 이자 소득세 면제
시중 은행의 예적금 상품은 15.4%의 이자 소득세가
과세되어 세금을 납부하지만,
장병 내일 준비적금 상품은 전액 비과세로
세금 한 푼 내지 않고 목돈을 마련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2024년 월 최대 지원액인 40만 원을
18개월 동안 납입한다고 가정해 볼게요.
본인 납입금액 (2024년 기준) 7,200,000원 +
정부 매칭 지원금 : 7,200,000원 (납입액 100%) +
은행 이자 (5% 가정) 285,000원
=14,685,000원
이렇게 혜자스러운 금융상품은 없을 것 같아요.
이럴 경우 무조건 많은 금액을 납입하는 경우가
유리한 경우이기 때문에 곧 입대를 앞두어
상품 가입할 기회가 된다면 무조건
많은 금액을 납입해서 많이 받아 가세요.
3. 예비군 훈련비 지급
2025년부터는 예비군 훈련 참여자에게
훈련비와 직계 훈련 교통비를 지급한다고 합니다.
예비군 연차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는데요.
✅1년 차 ~ 4년 차 동미참 예비군
훈련 참가비 : 4만 원
✅ 5년 ~ 6년 차 작계 훈련 예비군
훈련 교통비 : 6천 원
그동안 4일간 출퇴근해야 하는 동미참 훈련의 경우
교통비와 식비인 1만 6천 원만 제공해왔었고,
작계 훈련은 교통비 지급도 없었지만 2025년
부터는 위와 같은 내용으로 지급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