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스텔로 이사 온 후 처음으로 겨울을 맞이했는데요.
지난 원룸에선 도시가스 비용이 해봤자 1만 원 정도여서 이번에도 역시 얼마 안 나오겠지 하고 생각해서 거실과 안방에 보일러를 23도 정도 여유롭게 틀어놨는데요.
저번달 도시가스 비용을 보고 경악을 금치 못했습니다.

이번 2월 오피스텔 도시가스 청구금액
도시가스 비용이 무려 91,510원이 나왔습니다.
진짜 오피스텔은 여유 있을 때 살아야 하는구나 생각이 들었고, 저는 최근 오피스텔 자취의 꿈을 가진 친구들의 로망을 다 깨부수고 다니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도시가 절약 캐시백 제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신청한 후기를 안내드리려고 합니다.
1.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이란?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는 주택 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동절기 도시가스 사용량 감축을 위해 운영하는 제도입니다.
12월 ~ 3월까지 동절기 동안 전년도 사용량 보다 3% 이상 절약한 가구에 한 해
현금을 캐시백해 주는 제도로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분들께서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절감 기간 : 2024년 12월 ~ 2025년 3월
비교 기간 : 2023년 12월 ~ 2024년 3월
✅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참여 대상
참여 대상은 주택 난방용(개별난방/중앙난방) 도시가스 요금제 사용자라면 누구나 참여가 가능합니다.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신청 기간
2024년 12월 1일 ~ 2025년 3월 31일 (4개월)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지급기준
전년 동기간 대비 3% 이상 절감 시 절감률 별 차등 지급하며, 절감률이 높을수록 캐시백 지급단가가 높아집니다.

캐시백 되는 도시가스 지급단가
📌 지급 예시

지급 예시
비교 기간 사용량은 총 400
절감 기간 사용량 총 340
절감량은 총 60
절감률 계산 : 60/400 = 15%
15%는 10% ~ 20% 사이로 지급단가 100원/m
캐시백 금액은 60(절감량)*100(원/m)=6,000원
2.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신청방법
✅ 홈페이지 신청방법

도시가스 캐시백 홈페이지
1. 홈페이지 신청방법은 [도시가스 캐시백] 홈페이지에 접속해 회원가입을 해주면 됩니다.

회원가입 화면
2. 대부분의 회원들은 개인이기 때문에 개인회원가입으로 로그인해 주시면 됩니다.

납부자 번호를 조회하는 확인하는 방법
3. 회원가입을 하는 중 [개인 고객 식별 번호]를 입력하는 란이 나오는데요.
여기에는 본인이 가지고 있는 고유 납부자 번호를 입력해 주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 삼천리 도시가스에서 매월 카카오톡으로 납부 알림이 오기 때문에
카카오톡을 확인해 보니 납부자 번호가 나왔어요!
(그 와중에 오피스텔의 가스비는 정말 사악합니다)
📌 그렇게 회원가입을 완료만 하면 자동으로 신청이 접수되기 때문에
따로 홈페이지에서 신청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 도시가스 캐시백 앱 신청방법

한전 온 앱 설치 화면
1. 앱 신청방법은 [한전 ON] 앱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우선 앱을 설치해 주세요.

한전 온 메인 화면
2. 그리고 [에너지 캐시백] 버튼을 통해 도시가스 캐시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3. 삼천리 도시가스 요금 및 사용량 조회 방법
저 같은 경우 경기도민이어서 삼천리 도시가스를 사용 중에 있습니다.
지금 제가 얼마나 사용하고 요금은 얼마인지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데요.

삼천리 도시가스 홈페이지 화면
1. 삼천리 도시가스 홈페이지에 접속해
[간편 요금 조회] 란에 있는 납부자 번호를 입력해 줍니다.

월별 납부 및 사용량 화면
그럼 위에서 보이는 대로 월별로 사용량과 고지금액이 조회가 됩니다.
역시 동절기 시즌부터 급격하게 사용량과 고지금액이 늘어났네요!
오늘은 동절기 기간 도시가스를 사용하시는 분들을 위한
도시가스 캐시백 제도에 대해서 안내드렸습니다.
신청 절차가 간단하다 보니 신청대상에 포함되는 분들은
잠깐의 시간을 내셔서 신청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