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출산지원금 비과세 혜택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해 보았습니다.
최근 뉴스에서는 국내 게임 기업 중 하나인 크래프톤이 직원 자녀 1인당 최대 1억 원의 출산장려금을 지원해 준다는 내용이 나온 적이 있습니다.

부영그룹의 출산장려금 지원 뉴스
크래프톤뿐만 아니라 부영그룹 역시 직원의 출산에 최대 1억 원까지 출산장려금을 지급해 주는 걸로 유명한데요.
이렇게 기업에서 출산장려금을 지급하면 해당 소득은 과세일지 비과세일지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오늘은 출산지원금 비과세 혜택에 대해서 안내드리겠습니다.

출산지원금 비과세
최근 정부는 심각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범정부적인 노력을 기울이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데요.
위의 뉴스처럼 기업의 출산지원금으로 인해 기업이나 근로자들이 추가 세 부담이 발생하지 않도록 세제지원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6세 이하 자녀에 대한 양육수당 비과세 20만 원 혜택만 존재했었는데요.

비과세 한도 개정안
2025년부터는 기존에 있던 양육수당 비과세 혜택도 유지하고 추가로 비과세 한도를 폐지해 출산지원금까지 비과세 혜택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출산지원금 비과세 혜택 대상
근로자 본인 또는 배우자의 출산 관련 지원금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출산 후 2년 내 최대 2회까지 지급된 출산지원금은 전액 소득세에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4년 1월 1일 이후 지급분부터 적용)

기업과 개인의 출산장려금 지급 시
📌 기업 입장
기업 입장에서는 출산지원금이 인건비로 반영되기 때문에 비용으로 인정되어 법인세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 근로자 입장
출산지원금이 전액 비과세로 혜택을 받으면 근로소득세 부담이 줄어들어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출산지원금 비과세 신청방법
출산지원금의 신청방법은 따로 없습니다.
자동으로 비과세 혜택이 적용되기 때문에
별도의 신청 절차가 없습니다
위와 같은 정책을 통해 신혼부부나 출산 가구에 부담을 덜어주고 아이를 키우기 좋은 환경을 제공해 출산을 장려하려는 정부의 노력인 것 같습니다.
만약 출산을 앞두고 있거나 계획 중에 있는 분들은 해당 내용을 꼭 알고 계시면서 비과세 혜택을 받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