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움되는 생활정보

KPI와 OKR 대표적인 성과관리 지표 팀뿐만 아니라 개인도 관리 효율화

cafeconomics 2025. 4. 3. 15:16

기업에 따라 다르겠지만 연초나 상반기쯤 각 부서나 개인마다 목표나 성과를 설정해 이를 채우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 과정에서 개인이나 부서들은 자신들의 업무가 제대로 된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확인도하고, 성과관리를 하기도 하는데요.

 

 

OKR이란?

 

대표적인 빅테크 기업인 구글에서 사용하고 있는 성과관리 방식으로 유명한 OKR은 어떤 성과관리 방식일까요?

OKR은 (Objectives and Key Results)이란 조직, 팀, 또는 개인의 목표와 핵심 결과를 설정하고 추적하는 성과관리 방식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목표란 조직이나 팀 또는 개인이 궁극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방향성, 핵심결과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결과를 의미하고 있습니다.

 

OKR 적용 사례 (구글, 넷플릭스, 쿠팡 등)

 

 

✅ 구글

  • 목적 : 창업 초기,명확한 목표설정과 실행력 강화를 위해 도입
  • 적용 : 연간,분기별로 도전적인 목표를 세우고 70~80% 달성을 이상적으로 평가
  • 결과 : 검색엔진,유튜브,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혁신 사업 성공

✅ 넷플릭스

  • 목적 : 조직의 민첩성과 혁신 유지를 위해 도입
  • 적용 : 고객 중심 목표 설정, 팀별 핵심결과를 측정 가능한 지표로 구체화
  • 결과 : 개인 맞춤형 콘텐츠 추천 시스템 구축, 글로벌 스트리밍 서비스 확장

✅ 쿠팡

  • 목적 : 성장 속도에 맞춰 목표를 정렬하고 우선순위설정을 위해 도입
  • 적용 :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실시간 데이터 기반으로 핵심 결과 측정
  • 결과 : 로켓배송과 같은 차별화된 서비스 출시, 국내 이커머스 시장 장악

 

KPI란?

OKR은 조직의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 과정을 관리하는데 중점을 둔 성과관리 지표라면, KPI는 진행상황과 성과 주로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OKR과 KPI 차이점은?

OKR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방향성과 과정을 관리하는 지표이고, KPI는 이를 실행하며 얻은 결과를 관리하는 방식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KPI 적용사례 (IT, 세일즈 분야)

✅ IT관련 분야

  • 버그 수 : 시스템 또는 프로그램 내의 중대한 버그의 수를 측정
  • 백업빈도 : 중요한 데이터의 백업빈도 계산
  • 개발된 기능 수 : 새롭게 개발된 기능 수와 같이 제품 변경 횟수를 수치화하여 내부 제품 개발 측정
  • 총 시스템 다운타임 : 시스템 업데이트 또는 복구를 위해 다양한 시스템을 오프라인으로 전환해야하는 시간을 측정

✅ 세일즈 관련분야

  • 고객 생애가치 : 고객이 전체 비즈니스 관계에서 기업의 제품에 지출할것으로 예상되는 총 금액
  • 고객 획득 비용 : 신규 고객을 유치하는데 필요한 세일즈 및 마케팅 총 비용을 측정할 수 있다.
  • 신규 거래평균가치 : 새로운 거래의 평균 크기를 측정하면 기업은 대규모 또는 소규모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필요한 값을 가능
  • 리드 수 : 연락했거나 직접 접촉한 잠재 고객수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는 방문,이메일 ,전화 기타 고객 연락 등이 포함되며, 팀의 니즈에 따라 더욱 세분화 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성과관리 지표인 OKR과 KPI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회사 내에서 조직들이 이를 활용하기도 하지만 개인들이 한 해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개인적으로 다이어리에 작성해 쓰거나 활용합니다.

2025년 1분기가 지난 이 시점에서 남은 한해의 성과를 더욱 관리하기 위해 직접 작성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