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및 해외 정책

국민연금공단 실업크레딧 신청 및 최대보험료금액과 지원기간 정리

cafeconomics 2025. 4. 1. 12:34

오늘은 국민연금공단에서 진행하는 실업급여 크레디트 관련 포스팅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실업크레딧이란 무엇이며 신청 자격과 지원금액 그리고 신청방법까지 모두 정리해 보았으니 확인 후 자격 대상이 되시는 분들은 꼭 받아 가세요!

 

국민연금공단의 실업크레디트이란?

 

실업크레디트이란 국민연금 보험료 납부가 어려운 실업 기간에 대하여 국민연금 보험료 일부를 지원하고 그 기간을 국민연금 가입 기간으로 추가 포함하는 제도로 2016년부터 제도가 시행되었습니다.

실업크레디트을 신청하면 구직급여를 받는 기간 동안 국민연금 보험료의 75%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에서 75%를 부담하고 나머지 본인 부담은 25%로 구직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는 효과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 예를 들어

국민연금 보험료가 50만 원이었던 구직자는 25%인 12만 5천 원만 납부하면 되고 정부에서 나머지 75%인 37만 5천 원을 지원해 주게 됩니다.

📌실업크레딧 기간은 1인당 최대 12개월까지 지원이 가능합니다.

 

실업크레딧 신청요건

실업크레디트는 모든 구직자가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닌데요.

나이요건으로는 18세 이상부터 60세 미만까지 국민연금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사람이어야 합니다.

또한 구직급여 수급자 중 국민연금 보험료를 단 1개월 이상이라도 납부한 이력이 있는 국민연금 가입자나 가입했던 이력이 있는 경우에 해당해야 합니다.

또한 재산세의 과세표준합이 6억 원 이하이고 연간 종합소득 (사업소득 및 근로소득 제외)의 합이 1,680만 원 이하이여야 합니다.

 

✅ 재산 기준

재산세 과세표준의 합이 6억 원 이하

소득기준

연간 총합 소득 (사업소득 및 근로소득 제외)이 1,680만 원 이하

 

실업크레디트 산정 보험료 얼마?

그럼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실업크레디트은 얼마까지 지원금을 주는 걸까요?

실업 크레딧 보험료는 인정 소득을 기준으로 산정해 납부하게 됩니다.

인정 소득은 실직하기 직전까지 받고 있었던 3개월 기간 간의 평균 소득의 50%에 해당하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단) 최대 70만 원을 초과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예시 1 보험료가 70만 원 미만일 때

3개월간 평균 소득 130만 원을 받았을 때, 보험료 부과기준은 50%씩 반영해 65만 원을 받게 됩니다.

이 중 월 보험료는 국민연금 보험료율에 따라 9%를 반영한 58,500원이 되는데요.

그중에서 정부 지원분인 75% 43,875원은 정부가 내주고 나머지 25%인 14,625원만 본인 납부금이 되는 것입니다.

예시 2 보험료가 70만 원 이상일 때

3개월간 평균 소득 210만 원을 받았을 때, 보험료 부과기준은 50%씩 반영해 105만 원을 받게 됩니다.

하지만 최대 보험료 기준이 70만 원이기 때문에 보험료 부과기준은 70만 원까지 인정됩니다.

이 중 월 보험료는 국민연금 보험료율에 따라 9%를 반영한 63,500원이 되는데요.

그중에서 정부 지원분인 75% 47,250원은 정부가 내주고 나머지 25%인 15,750원만 본인 납부금이 되는 것입니다.

 

실업급여 크레딧 신청방법

실업급여 크레딧 신청방법으로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오프라인 신청방법이고 하나는 온라인 신청방법인데요.

✅ 오프라인 신청방법

오프라인 신청방법으로는 구직급여를 신청할 때 같이 신청할 수 있으며, 국민연금 공단 관할 지사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 온라인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방법으로는 국민연금 공단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이 가능합니다.

1. 국민연금 공단 홈페이지 접속

2. 우측 상단에 전체 메뉴에 들어가 [신고/신청]-[실업급크레디트신청]에 들어가 온라인 신청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실업급여 크레딧 관련된 포스팅이었습니다.

앞으로 구직자들을 위한 지원프로그램이 많이 생겨서 생계에 무리가 없는 생활을 이어갔으면 좋겠는데요.

그럼 앞으로 더 유익한 내용으로 포스팅 진행하겠습니다.